본문 바로가기
history

무장 독립 투쟁의 전개

by ㎣㎤㎥㎦ 2022. 11. 6.
반응형

3.1 운동을 계기로 만주와 연해주 일대에서는 독립 의지가 고조되었습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의 새로운 세계 사조와 국내의 만세 운동 소식에 고무되었던 것입니다. 한, 만 국경의 서간도와 북간도에서는 한인 지역을 중심으로 만세 운동이 전개되었고, 무장 부대가 조직되었습니다. 

 만주 일대는 우리 동포들이 가장 많이 이주해 살고 있었습니다. 용정촌, 명동촌, 삼원보 등지에서는 일찍부터 민족 운동가들이 서전서숙과 명동학교, 신흥 무관 학교 등을 세워 근대 교육과 함께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독립군을 양성하였습니다. 3.1 운동 직후 한, 만 국경 지대를 중심으로 독립군 부대가 다수 결성되었습니다. 서간도에는 서로 군정서, 대한 독립단, 광복군 총영이 조직되었습니다. 북간도에는 대한 국민회군, 대한 독립군, 북로 군정서 등이 편성되었습니다. 

 연해주 일대에서는 일제 강점 이전부터 한인 집단촌이 있었고 의병들도 유입되어 있었습니다. 이를 배경으로 권업회를 비롯하여 대한 신민단 등 독립 운동 단체들이 조직되었고, 크고 작은 무장 조직들이 결성되었습니다. 그러나 러시아 당국은 한인들의 무장 활동을 공식적으로 금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직접 독립군을 양성하여 항일 투쟁을 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3.1 운동 이후 국내에도 천마산대, 보합단, 구월산대 등이 평안도와 황해도를 중심으로 무장 독립 투쟁을 전개하였습니다. 그러나 무장 독립 투쟁은 주로 만주와 연해주 지역을 중심으로 펼쳐졌습니다. 1920년 초부터 한. 만 국경의 독립군 부대들은 국내 진공 작전을 감행하여 기습적으로 일제의 통치 기관에 타격을 가하였습니다. 이에 일본군은 북간도 독립군 부대의 근거지를 공격하기 위해 추격대를 편성하고 공격해 왔습니다. 이에 홍범도의 대한 독립군은 추격해 오는 일본군을 봉오동 계곡으로 유인하여 대파하였습니다. 

 일제는 봉오동 전투의 참패로 독립군에 대한 전력을 재평가하여 대규모 군대를 동원하기 위해 훈춘 사건을 조작하였습니다. 이후 약 2만명의 일본군을 동원하여 서간도, 북간도 지역의 독립군에 대한 공격을 시작하였습니다. 일본군의 독립군 공격 계획을 중국 당국으로부터 전해 들은 독립군 부대들은 한인들의 피해와 희생을 우려하여 허룽 현과 안투 현 등의 백두산 근처 산악 제대로 이동하였습니다. 

 일본군은 독립군 부대에 대한 포위망을 점점 좁혀 왔고, 이에 김좌진의 북로 군정서를 비롯해 홍범도의 대한 독립군 등의 독립군 연합 부대는 백두산 서쪽으로 향하는 길목인 허룽 현 청산리에 집결하였습니다. 이 부근에서 독립군 연합 부대는 일본군과 6일간에 걸쳐 10여 차례의 전투를 전개하였습니다. 열악한 화력에도 불구하고 일본군의 동태를 시시각각으로 파악하고 유리한 지점을 선점하여 백운 평과 어랑촌을 비롯한 전투에서 일본군을 크게 격파하였는데, 이것이 청산이 대첩입니다. 

 일본군은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에 대해 보복하고 독립군의 활동 기반을 없애려하였습니다. 1920년 일본군은 북간도의 한인 촌락에 대한 초토화 작전을 전개하여 한인들을 무차별적으로 살해하고 가옥, 교회, 학교 등을 불태우는 간도 참변을 저질렀습니다. 

간도 참변으로 타격을 받은 독립군은 부대의 재정비를 위해 러시아와 만주의 국경지대인 밀산부에 집결하였습니다. 그곳에서 서일 총재로 하는 대한 독립군단을 조직하였고, 다수는 러시아 혁명 부대인 적군의 약소민족 독립운동에 대한 지원 약속을 기대하며 시베리아의 자유시로 이동하였습니다. 이때 김좌진의 북로 군정서 등은 러시아 적군의 지원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만주로 돌아왔습니다. 

 자유시에서 이미 적군에 가입한 공산주의자들은 독립군의 지휘권 장악을 시도하였고, 이를 지지하는 적군은 지휘권 양도를 거부하는 독립군 부대에 대해 무장해제를 위한 무력사용을 명령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수백 명의 독립군이 희생당하고 체포되는 자유시 참변이 일어났습니다. 이후 독립군 부대는 사방으로 흩어졌고, 무장 투쟁은 현자 하게 약화되었습니다. 

 간도참변과 자유시 참변을 겪은 만주 지역의 한인 동포들과 독립군 부대들은 조직을 정비하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통합 운동을 추진하였습니다. 1922년에 8개의 독립운동 단체가 통합하여 통의부를 발족하면서 각 지역에서 통합운동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습니다. 

반응형

댓글